운전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간혹가다 교통법규를 지키지 못할 수 있는데 이파인 앱 설치 교통위반 과태료 범칙금 조회 어플 다운로드 방법을 알아두면 좋습니다.
법규 위반 시 기한 내에 과태료를 납부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우편으로 온 범칙금 고지서를 분실하면서 언제까지 내야하고 금액이 얼마였는지 까먹을 수 있습니다.

이파인 앱 교통범칙금 조회방법
【STEP 01】
하지만 경찰청 교통과에서 제공하는 조회 서비스인 efine을 통해서 내야할 자동차 범칙금 조회가 가능하기 때문에 고지서를 잃어버렸어도 걱정할 필요 없습니다.
이파인 혹은 교통민원24 앱은 구글 Play 스토어, Apple 앱스토어, 원스토어에서 모두 다운 받을 수 있으니 자신이 사용하는 핸드폰의 앱 스토어로 들어가주세요.
【STEP 02】
이파인 어플을 설치 및 실행하시면 메인화면에 여러가지 메뉴가 표시되는데 이중에서 미납범칙금 혹은 기납범칙금을 누르시면 로그인 화면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로그인 방법은 크게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디지털원패스, 간편인증 이렇게 4가지가 있으며 이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본인 인증하면 서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교통민원24 교통범칙금 조회방법
【STEP 01】
먼저 교통민원24 로그인하면 되는데 주민등록번호가 포함된 자료를 처리하니 내 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웹 보안 및 키보드보안 설치 및 동작에 체크해주세요.
상단 조회 메뉴에서 미납범칙금을 눌러주시면 위반일시, 위반장소, 위반법조항, 차량번호, 가상계좌번호, 납부기한, 범칙금(번호)를 건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STEP 02】
그런데 만약 범칙금 납부기한이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로 되어 있다면 은행이 문을 열지 않기 때문에 어떻게 범칙금을 납부해야 하는지 궁금할 거라 생각됩니다.
만약 납부기한이 주말로 되어 있다면 그 다음 평일인 월요일까지 내시면 되고 금요일을 제외한 평일이 공휴일일 때는 그다음 평일에 은행에 가서 납부하면 됩니다.
【STEP 03】
기납범칙금의 경우 최대 5년까지 조회 가능하며 가상계좌 혹은 교통민원 24에서 납부했으면 바로 반영되지만 은행·지로납부했다면 2일 정도 걸릴 수 있습니다.
납부 내역은 엑셀 저장을 눌러서 Excel 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고 납부확인서 버튼을 눌러서 인쇄하시거나 은행 혹은 지로사이트에 접속하셔서 출력할 수 있어요.
마치며
나는 특별한 문제 없이 충실히 차를 운전해왔다고 느끼더라도 별생각 없이 했던 사소한 행동들로 인해 교통단속 중인 경찰관에게 적발되었던 경험이 있을 텐데요.
이런 경우 위반행위에 따라 벌점이 부과될 수 있고 범칙금 처분을 받을 수 있는데 벌점이 누적되거나 범칙금을 내지 않으면 불이익을 당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